인터넷이나 사내 LAN은 TCP/IP의 개념에 기초하여 만들어졌으므로 TCP/IP의 개념부터 알아보자.
TCP/IP란?
서브넷이라는 작은 네트워크를 라우터로 접속하여 전체 네트워크가 만들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의 한개의 단위는 서브넷이고, 라우터에서 연결하면 네트워크 전체가 완성된다.
집 주소로 따지면 ~~동은 서브넷이고, 번지에 해당하는 번호를 컴퓨터에 할당한 것이네트워크 주소라고 한다.
이 동에 해당하는 번호를 네트워크 번호, 번지에 해당하는 번호를 호스트 번호라고 한다.
네트워크번호와 호스트번호를 합쳐서 IP주소라고 한다.
송신측이 메시지를 보낼때는 서브넷 안에있는 허브가 운반하고, 가장 가까운 라우터까지 도착한다.
그리고 라우터가 메시지를 보낸 상대를 확인하여 다음 라우터를 판단하고
그 다음 라우터의 서브넷의허브로 보내고를 반복합니다. 이것이 TCP/IP의 기본적인 개념입니다.
IP주소의 구조
IP주소의 규칙에서는 네트워크 번호와 호스트 번호의 두 가지를 합쳐서 32비트로 되어있다.
11111111.11111111.11111111. 00000000
네트워크 번호 호스트번호
IP주소의 호스트 번호
모두 0 : 서브넷 자체를 나타냄
모두 1: 서브넷에 있는 기기 전체에 패킷을 보내는 '브로드 캐스트'를 나타냄
DNS란?
서버명과 IP 주소를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하는것
서버명을 입력하고 IP주소값을 얻는 과정
- 서버명 입력
- 리졸버 호출(리졸버는 소켓에 있는 IP주소값을 호출하는 프로그램)
- OS내부에 프로토콜 스택을 호출하여 실행 의뢰(리졸버는 송수신 기능이 없기 때문)
- LAN어댑터를 통해 메시지가 DNS서버를 향해 송신
- 답이 발견되면 클라이언트에게 반송
- 프로토콜 스택을 경유하여 리졸버에 건네져서 리졸버가 내용을 해독한 후
- 애플리케이션에 IP주소 제공
'IT 스터디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적으로 알면 도움이 되는 포트 번호 (0) | 2022.10.17 |
---|---|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 (0) | 2021.08.18 |
IP주소를 알아낸 후 메시지 송수신 (0) | 2021.08.18 |
HTTP 리퀘스트 메시지 작성 (0) | 2021.08.17 |
네트워크 공부 시작 (0) | 2021.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