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라클 스키마 생성

스키마란? 
스키마에 속한 표들을 정의하는 정보 
표를 연관된것 끼리 그룹핑 한 일종의 디렉토리

1. 오라클 접속 

sqlplus

아이디 sys as sysdba // 관리자 접속

비밀번호 (개인설정한 비밀번호 입력)

2. 계정생성

CREATE USER 아이디입력 IDENTIFIED BY 비밀번호;
                    //아이디                       //비밀번호

3. 권한부여


GRANT RESOURCE, CONNECT, DBA TO EZCARETALK;

RESOURCE : 개체를 생성, 변경, 제거 할 수 있는 권한(DDL, DML 사용가능) 
CONNECT :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할 수 있는 권한
DBA :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권한

'IT 스터디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19c server 설치  (0) 2022.01.20

앞으로 프로젝트에서 자격증 공부겸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오라클을 설치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를 생각해 봤습니다.

1. AWS RDS를 이용하여 ORACLE 연결 

https://m.blog.naver.com/scw0531/221440516899

2. ORACLE 로컬로 설치하여 연결 

https://goddaehee.tistory.com/281

저는 이전 팀 프로젝트에서 1번을 해봤기 때문에 

이번 개인프로젝트에서는 과금 걱정없이 관리가 쉬운 로컬 서버로 설치하여 사용하겠습니다.

'IT 스터디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스키마 생성 및 권한 부여  (0) 2022.01.20

깃허브 관련 책으로 공부하다가 현재 깃허브에 main 브랜치가 기본값으로 되어있는 것을 보고

master브랜치가 기본이였다가 현재 main으로 바뀐것을 알 수 있었다. (이유는 master가 좋지 않은 뜻으로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이다.)

그래서 main을 기본값으로 두고 푸쉬를 하려고 했지만

$ git push origin main  # 오류가 난다.

! [rejected] main -> main (non-fast-forward)

error : failed to push some refs to '깃허브 주소'의 오류 들이 나타났다.

구글링을 해보니 .gitnore 파일 또는 READ.md 파일로 인한 오류라고 한다.

해결법

$ git push origin +master    # +를 붙이니 해결이 됐다.

cf) 먼저 $ git branch -M main 으로 브랜치를 main으로 바꿔야 한다.

branch 확인은  $ git branch -a    이다

 

2개의 디렉터리를 만들어 깃허브 협업을 연습하겠습니다.(git_a, git_b)

다른 저장소에서 똑같이 가져오는 것을 '클론'또는 '클로닝'이라고 합니다.

먼저 원격 저장소에 있는걸 복사하기 위해 주소를 복사합니다.

$ git clone 복사한 주소 새로운디렉터리 디렉터리 이름  ex) https://github.com/parkjunyoung27/test-1.git  

개인 컴퓨터에서 작업하고 올리기

$ git commit -am "메시지내용"

$ git push

개인컴퓨터로 내려받아 작업하기

$ git pull

합치기 전에 정보 가져오기

$ git fetch

$ git status  # 커밋이 뒤쳐져 있다고 나온다.

$ git checkout FETCH_HEAD # 최신 커밋을 살펴보고 싶다면 FETCH_HEAD브랜치로 체크아웃해서 확인해야한다.

파일 합치기

git pull 명령을 사용해서 소스를 내려받거나

git merge를 사용해서 병합 예) git merge FETCH_HEAD

푸시(push) : 원격 저장소로 파일을 올리는 것

풀(pull) : 원격 저장소에서 파일을 내려받는 것

원격 저장소에 파일 올리기 - git push

$ git push -u orgin master        # 지역 저장소의 브랜치를 orgin, 즉 원격 저장소의 master 브랜치로 푸시하라는 명령

* -u는 원격 저장소의 master 브랜치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처음 한번만 사용

* 로그인 시 비밀번호를 깃허브에 토큰으로 해야한다(참고 사이트)

https://curryyou.tistory.com/344      # 감사합니다.

이후에는 파일 수정시에 올릴때마다 git push를 적어주면 원격저장소에 올릴 수 있다.

원격 저장소에서 파일 내려받기 - git pull

$ git pull orgin master (origin : 원격 저장소, master는 지역저장소의 기본 브랜치)

 

깃허브 저장소에 지역 저장소에 한 작업을 원격으로 올리기 위해서 작업해 보겠습니다.

깃허브의 저장소 주소 복사하기

$ git remote add origin 복사한 주소 붙여넣기

 

깃허브와 연결됐는지 확인하기

$ git remote -v

 

 

'IT 스터디 > 깃&깃허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깃허브에서 팀 협업하기  (0) 2021.08.18
원격 저장소에 올리거나 내려받기  (0) 2021.08.18
원격 저장소 - 깃허브  (0) 2021.08.18
깃 - git stash 사용법  (0) 2021.08.16
브랜치란?  (0) 2021.08.16

원격 저장소란?

지역저장소(내컴퓨터)가 아닌 서버에 만든 저장소를 말하며, 다른사람들과 협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ex. 깃허브)

깃허브 용도

  • 원격저장소에서 깃을 사용할 수 있다.
  • 지역저장소를 백업할 수 있다.
  • 협업 프로젝트에 사용할 수 있다.
  • 자신의 개발 이력을 남길 수 있따.
  • 다른 사람의 소스를 살펴볼 수 있고, 오픈 소스에 참여할 수 있다.

깃허브 저장소에 접근하는 방법

https://github.com/아이디/저장소명 

 

'IT 스터디 > 깃&깃허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 저장소에 올리거나 내려받기  (0) 2021.08.18
지역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 연결하기  (0) 2021.08.18
깃 - git stash 사용법  (0) 2021.08.16
브랜치란?  (0) 2021.08.16
깃 파일 커밋하기(2)  (0) 2021.08.16

+ Recent posts